식물 생태학 - 생물다양성 협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6:17본문
Download : 식물 생태학 - 생물다양성 협약.pptx
(우리 나라는 1994년 10월 가입)





우리 나라의 생물다양성 관련 주요 전략(strategy).
유전자원의 이용에 따른 이익의 공평한 분배.
식물 생태학 - 생물다양성 협약
식물 생태학,생물다양성 협약
1992년 리우環境(환경)회의에서 채택.
협약당사국은 「협약 제 6조」에 의거 협약의 목적수행을 위해
Sustainable Use of its Components.
다.
당사국회의에서 정한 기간마다 본 협약의 이행을 위하여 취한
설명
구성요소의 지속 가능한 이용.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각국 government , 민간단체, 기업차원의 생물 종 보전과
순서
- 생물다양성 구성요소에 대한 조사와 주기적 점검.
- 희귀생물 종과 보호지역의 지정 및 보호 강화.
- 위해성 물질의 배출과 생태계 훼손 행위의 규제 강화.
국가전략(strategy), 실천계획 및 호로그램을 수립∙시행할 의무를 지니며,
생물다양성의 보전.
- 유전자 변형 생물체 및 외래종에 대한 관리.
레포트 > 의학계열
- 현지 외(Ex-Situ) 보전 대책.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its Benefits.
193개국 포함 초대형 環境(환경)협약.
2011년 현재, 협약당사국
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적극 추진할 것.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채택. 2011년 현재, 협약당사국 193개국 포함 초대형 환경협약. (우리 나라는 1994년 10월 가입) 각국 정부, 민간단체, 기업차원의 생물 종 보전과 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적극 추진할 것.
Download : 식물 생태학 - 생물다양성 협약.pptx( 98 )
대책과 목적 달성의 효율성에 관한 보고를 당사국회의에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