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d.kr 행소법상 판결의 효력 연구 (행정소송법) > hard25 | hard.kr report

행소법상 판결의 효력 연구 (행정소송법) > hard2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ard25

행소법상 판결의 효력 연구 (행정소송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03:08

본문




Download : 행소법상 판결의 효력 연구 (행정소송법).hwp




따라서 기판력은 무용한 재판의 반복을 방지하고, 재판의 통일성을 이하여, 법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
행소법상%20판결의%20효력%20연구%20(행정소송법)_hwp_01.gif 행소법상%20판결의%20효력%20연구%20(행정소송법)_hwp_02.gif 행소법상%20판결의%20효력%20연구%20(행정소송법)_hwp_03.gif 행소법상%20판결의%20효력%20연구%20(행정소송법)_hwp_04.gif 행소법상%20판결의%20효력%20연구%20(행정소송법)_hwp_05.gif 행소법상%20판결의%20효력%20연구%20(행정소송법)_hwp_06.gif
행정소송법상 판결의 효력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2) 객관적 범위
취소소송의 기판력은 판결의 주문에 표시된 소송물에 관한 판단에만 미치고,/판결…(skip)


행소법상 판결의 효력 연구 (행정소송법)


행정소송법상판결의효력연구
레포트/법학행정







다.행정소송법상판결의효력연구 , 행소법상 판결의 효력 연구 (행정소송법)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순서

Download : 행소법상 판결의 효력 연구 (행정소송법).hwp( 63 )






I. 들어가며
II. 자박력(불가변력, 구속력)
III. 형식적 확정력(불가쟁력)
IV. 기판력(실질적 확정력)
V. 형성력
VI. 기속력
VII. 간접강제



IV. 기판력(실질적 확정력)

1. 의의
기판력이란 취소소송의 판결이 확정되면, 이후 동일사항이 문제된 경우에 당사자 및 후소법원은 이와 모순된 주장이나 판단을 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3. 범위

1) 주관적 범위
기판력은 당사자 및 당사자와 동일시 할 수 있는 자에게만 미치고,/일반 제3자에 대하여는 미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실질적 확정력 또는 내용적 확정력이라고도 한다. 행소법상 명문의 규정이 없으므로 민소법이 준용된다

2. 인정이유
판결이 확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사자가 그 내용에 모순되는 주장을 하거나 법원이 모순되는 판결을 한다면 재판제도가 무의미하게 될 것이다.
행정소송법상 판결의 효력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기판력의 상대성
/다만, 행소법16에 의한 참가인은 공동소송인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므로 기판력이 미치는 것으로 본다(류지태, 정하중). 그리고 피고인 행정청이 속하는 국가 또는 공공단체는 객관적 당사자로서 기판력이 미치는 것으로 본다.
전체 6,66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ard.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