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개화기 번역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2:47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개화기 번역문학.hwp
이는 당시 발표된 문서가 이를 입증할 뿐만 아니라…(투비컨티뉴드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우리 문학사상 최초의 서양문학 번역서가 될 초고본 <유옥역전>(<아라비안·나이트> 번역)이 서지학자 안춘근씨의 장서 가운데서 발견되어 화제를 모으고 있다아 이제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문학 번역본은 1895년 캐나다선교사 존·S·게일(존이 아니라 제임즈-필자)이 번역한 <천로역정>(존·빈연원작(The Pilgrim`s Progress)인데 <유옥역전>의 책 말미에 기재된 번역일자는 을미 칠월 중추로서 <천로역정>이 발행된 해와 같은 해이지만 순수한 우리나라 사람의 번역이라는 점에서 큰 뜻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역자의 국적을 가리지 않는다면 우리의 번역문학의 효시는 이 둘이라고 할 수밖에 없고, 국적을 한국인으로만 한정한다면 <유옥역젼>이 단연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다아
개화기에 출간된 번역물의 거의 전부가 문학이 가진 바 그 예술성의 중시가 아니라, 정치적·사회적 효용으로서의 문학의 중시, 즉 국가의 독립과 민권을 수호하기 위하여 문학이 그 시녀적 역할을 한다는 공이적인 문학관을 가진데 대해 이 두 역서가 가진 바 特性은 어디까지나 정치적·사회적 효용성이 배제된, 다시 말하면 이후의 번역물과는 친근성이 단절된 전통적 특질을 인정할 수 없는 유아독존적인 이질분자라는데 한국 번역문학사에서 차지하는 그들 고유의 특수성이 있다아
사학자 이광린 교수는 개화기를 1870년대로부터 1900년대까지로 정립하고 있는데, 시대적 요구가 “한국의 독립(국권)과 국민의 권리(민권)을 주장하였다”는 슬로건이 그대로 개화기 번역문학의 내용으로 되어 있고, 이것은 또 곧 그대로 개화기 신소설의 주요課題였다.
Ⅰ. 개화기의 번역문학(1895 - 1909)
Ⅱ. <태서문예신보>까지의 번역문학 (1911-1919)
Ⅲ. 1920년대의 번역문학(1920-1929)
1. 개화기의 번역문학(1895 - 1909)
1) 개관 - 한국 번역문학의 효시와 개화기 번역문학의 특색
유옥역전의 발견 : 1973년 2월 7일자 중앙일보에 “한국인이 번역한 한국 최초의 서양문학 <유옥역전> 초고본 발견, 게일이 번역한 <천로역정>보다 앞서”란 title으로 다음과 같은 기사를 실었다.우리나라개화기번역문 , 우리나라 개화기 번역문학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우리나라 개화기 번역문학.hwp( 90 )
본 자료는 우리나라 개화기의 번역문학관과 신소설관에 대한 리포트입니다.설명
우리나라 개화기 번역문학
우리나라개화기번역문
본 자료는 우리나라 개화기의 번역문학관과 신소설관에 대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