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가지 장애종류 중 한 가지 종류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2:05
본문
Download : 15가지 장애종류 중 한가지 종류와.hwp
2. 청각장애
② 교육장 또는 교육감이 제1항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를 선정할 때에는 제16조제1항에 따른 진단·평가결과를 기초로 하여 고등학교 과정은 교육감이 시·도특수교육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중학교 과정 이하의 각급학교는 교육장이 시·군·구특수교육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를 결정한다.
6. 자폐성장애(이와 관련된 장애를 포함한다)
레포트 > 기타
3. 정신지체
15가지 장애종류 중 한 가지 종류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하기.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에서 말하는 장애인과 장애인복지법에서 말하는 장애인은 약간 다르다. 장애인복지법에서는 15가지 유형, 특수교육에서는 11가지 유형이 있다.





3. 정신지체
15가지 장애종류 중 한 가지 종류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하기.
11.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
8. 학습장애
10. 발달지체
제15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①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진단·평가된 사람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한다.
Download : 15가지 장애종류 중 한가지 종류와.hwp( 85 )
9. 건강장애
8. 학습장애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에서 말하는 장애인과 장애인복지법에서 말하는 장애인은 약간 다르다.
2. 청각장애
4. 지체장애
5. 정서·행동장애
[시행 2012.3.21] [법률 제11384호, 2012.3.21, 타법개정]
11.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
[시행 2012.3.21] [법률 제11384호, 2012.3.21, 타법개정]
순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0. 발달지체
설명
15가지 장애종류 중 한 가지 종류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하기.
장애인복지법에서는 15가지 유형, 특수교육에서는 11가지 유형이 있다
7. 의사소통장애
5. 정서·행동장애
제15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①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진단·평가된 사람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한다.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에서 말하는 장애인과 장애인복지법에서 말하는 장애인은 약간 다르다. 1. 시각장애 2. 청각장애 3. 정신지체 4. 지체장애 5. 정서·행동장애 6. 자폐성장애(이와 관련된 장애를 포함한다) 7. 의사소통장애 8. 학습장애 9. 건강장애 10. 발달지체 11.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 ② 교육장 또는 교육감이 제1항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를 선정할 때에는 제16조제1항에 따른 진단·평가결과를 기초로 하여 고등학교 과정은 교육감이 시·도특수교육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중학교 과정 이하의 각급학교는 교육장이 시·군·구특수교육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를 결정한다.
1. 시각장애
7. 의사소통장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9. 건강장애
6. 자폐성장애(이와 관련된 장애를 포함한다)
15가지 장애종류 중 한 가지 종류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하기.
15가지 장애종류 중 한 가지 종류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하기.
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 2012.3.21] [법률 제11384호, 2012.3.21, 타법개정] 제15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①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진단·평가된 사람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한다.
4. 지체장애
1. 시각장애
장애인복지법에서는 15가지 유형, 특수교육에서는 11가지 유형이 있다.
② 교육장 또는 교육감이 제1항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를 선정할 때에는 제16조제1항에 따른 진단·평가결과를 기초로 하여 고등학교 과정은 교육감이 시·도특수교육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중학교 과정 이하의 각급학교는 교육장이 시·군·구특수교육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를 결정한다.